문장부호 중점(·)을 수식에서 내적(곱하기) 기호로 사용해도 되는가? 결론만 말하면 그렇다.
위키백과를 보면 중점(같이 생긴 부호)은 여러 가지가 있다. 일반적으로 국문 문장부호로 사용하는 게 이 중점(·)이다. 유니코드로는 00b7. 윈도우 한글 입력기에서는 ㄱ을 입력하고 한자 키를 누르면 두 번째 페이지 8번째에 있다.
이거랑 비슷한 녀석으로 불릿(•)이 있다. 더 크다. 유니코드로 2022. 주로 목록을 표시할 때 목록 앞머리에 쓴다.
위의 위키백과에 따르면 이 둘은 레이텍에서는 각각 \textperiodcentered와 \textbullet이다.
얘네 둘까지는 혼돈이 없는데, 수식으로 가면 복잡해진다. 위 두 가지의 수식 버전에 해당하는 점 연산자(⋅)와 불릿 연산자(∙)가 있다. 유니코드에서 각각 22c5와 2219다. 레이텍으로 치면 각각 \cdot과 \bullet이다.
이런 걸 고민하는 게 나뿐만은 아니다. 텍 스택오버플로에 관련 질답이 있었다. 해당 답변을 건단히 정리한 게 이상의 내용이다.
여기부터는 내 문제. 내가 애용하는 모 레이텍 렌더링 사이트에서 \cdot을 입력하면 pdf 결과가 중점(00b7)으로 출력된다는 거다. \bullet을 입력하면 그냥 불릿(2022)으로 출력된다.
게다가 점 연산자와 불릿 연산자를 입력하면 아예 제대로 렌더링이 안 된다.
이 사이트는 레이텍의 표준 서체와도 같은 Computer/Latin Modern 서체(위키백과) 등을 사용하는데, 글리프를 직접 확인해보니 이 옛날(?) 서체들에는 22c5와 2219 글리프가 없었다(한편, 오라일리 같은 외국 출판사에서는 종종 수식에 STIX 서체(위키백과)를 사용한다. STIX 서체에는 22c5와 2219 글리프를 포함해 엄청나게 많은 글리프가 들어 있다).
결론적으로 그렇다고 한 건... 사실 점(불릿) 연산자와 중점(불릿)을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. 따라서 문단 수식을 조판하는 데에는 여전히 저 사이트를 이용해도 문제는 없어 보인다. 물론 더 정확히 하려면 뭔가 다른, 제대로 된 레이텍 렌더링 방법을 찾아야 한다. 근데 이러면 나 한 몸 편하자고 온라인으로 레이텍 렌더링하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...
*추가:
위 사이트 말고 다른 레이텍 렌더링 사이트에서는 중점과 점 연산자가 잘 구분되어 렌더링되고 pdf로 출력하면 제대로 된 글리프가 나온다. 예제 파일. 이걸 pdf로 출력하고 그 pdf에서 텍스트를 복사해서 워드 같은 데 붙여넣기해보면 글리프가 다른 걸 확인할 수 있다.
게다가 이 사이트는 컴파일러를 고를 수도 있다. 이게 왜 유용하냐면... 유니코드에는 그리스문자 델타(Δ)와 증분 기호(∆)가 별도로 들어 있는데(각각 0394와 2206) 후자를 레이텍으로 쓰려면 unicode-math 같은 패키지가 필요하고 이 패키지는 pdflatex가 아니라 xelatex나 lualatex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. 위 사이트에서는 이들 여러 컴파일러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.
'응용프로그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글 파일의 수식을 tex으로 추출해보자 (0) | 2018.09.13 |
---|---|
매닉타임 1.8년 결산 (1) | 2017.04.26 |
구글 크롬 최근 탭 간 Ctrl+Tab 이동 (1) | 2016.07.08 |
Noto Sans Mono CJK KR 서체 PDF 임베딩 문제 (0) | 2015.12.09 |
아마존 상품정보 importxml로 불러오기 (0) | 2015.06.03 |